3,847 0 0 1 8 0 2년전 0

연해주 한인 민족 교육

- 교육과정과 수업 자료 -

일제의 국권 침탈 시기 연해주 한인들은 교육을 독립전쟁의 보루이자 지원처라고 보고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 시기는 독립전쟁과 민족교육에 대한 자료들이 이후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더 많이 남아 있다. 그러나 10월 혁명 후 연해주 한인의 교육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나, 한인들은 강제 이주와 스탈린의 강압 정치로 말미암아 자신들의 역사를 기록할 자료들을 엄청나게 망실하였다. 그나마 남긴 자료도 오랫동안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았으며, 이제 접근할 수 있는 자료도 거의 발굴되지도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매우 산발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 시기 연해주 한인에 대한 연구가 희소한 것은 이와 같은 자료의 산발성과 희귀성에 의한 것이다. 이렇게 미미하게 남아 있고, 산발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자료들을 그대로 방치하다..
일제의 국권 침탈 시기 연해주 한인들은 교육을 독립전쟁의 보루이자 지원처라고 보고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 시기는 독립전쟁과 민족교육에 대한 자료들이 이후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더 많이 남아 있다. 그러나 10월 혁명 후 연해주 한인의 교육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나, 한인들은 강제 이주와 스탈린의 강압 정치로 말미암아 자신들의 역사를 기록할 자료들을 엄청나게 망실하였다. 그나마 남긴 자료도 오랫동안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았으며, 이제 접근할 수 있는 자료도 거의 발굴되지도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매우 산발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 시기 연해주 한인에 대한 연구가 희소한 것은 이와 같은 자료의 산발성과 희귀성에 의한 것이다. 이렇게 미미하게 남아 있고, 산발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자료들을 그대로 방치하다가는 이 자료들조차도 망실할 수 있다는 절박감 때문에 민족 교육에 대한 자료를 수집 정리하였다.
엮은이: 이종원

대구에서 나서 자람.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음.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과정을 가르치고 있음.

연해주 한인 민족교육에 대해 저술한 논문.

제정 러시아 시대의 한국학 연구와 교육
제정 러시아 시기 러시아 이주 한인의 한국어 교육관
연해주 고려인에게 있어서 한국어 의미와 교육
연해주 지역의 민족주의 교육 운동에서의 계급 분화
1920-30년대 연해주 한인 민족교육의 특징과 성격
1920-30년대 연해주 지역 한인 교사 교육의 성격
1930년대 연해주 한인 교육에 있어서 종합기술교육의 의미와 한계
1920년-1930년대 연해주 지역 한인의 문맹 퇴치 운동
1920년대 연해주 지역 한인 여성 교육 운동의 보편성과 특수성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